디지털 관광주민증 소개디지털 관광주민증은 인구 감소 지역을 방문하는 여행객들에게 다양한 혜택을 제공하는 정부 정책이자 일종의 명예 주민증이다. 2020년부터 시작된 이 사업은 65세 이상 국민과 장애인을 대상으로 발급되었지만, 2024년 6월부터는 모든 연령대의 국민이 신청할 수 있도록 확대되었다. 발급&사용방법①방문지 내 디지털 관광주민증 QR스캔 및 디지털 관광주민증 페이지 접속하여 디지털 관광주민증 발급 진행 ②발급 시 현재 거주지 선택 ③디지털 관광주민증 발급받을 지자체를 선택하면 간단 발급 완료 ④할인 혜택 받을 방문지에서 QR스캔을 통해 할인증 발급 후 직원에게 제시 ⑤방문지에서 직원이 확인하면 끝, 혜택 받고 신나게 여행 혜택①숙박, 식음, 체험 등의 여행 할인 혜택 제공 ②지방소멸 ..
욱일기란?욱일기는 일본의 국기인 일장기의 태양 문양을 중심으로 아침 햇살이 뻗어나가는 모양의 깃발을 말한다. 이 깃발은 과거 일본이 제2차 세계대전까지 제국주의를 지향하며 사용하던 것으로, 일본군의 군용 깃발에 사용되었으며 현재 일본의 자위대에서도 사용되고 있다. 욱일기는 일본의 국가 상징 중 하나로 여겨지고 있지만, 우리나라의 입장에서는 일본 제국주의의 상징으로 인식하기 때문에 최악의 깃발로 인식되고 있다. 역사일본에서 욱일기의 역사는 오래되었다. 에도 시대(1603년)부터 일본의 전통적인 상징으로 사용되어 왔으며, 일본의 신화나 전설에서도 욱일기와 관련된 이야기가 등장한다. 일본 제국 시대(1868년-1945년)에는 욱일기가 일본 제국의 군기로 사용되었고, 일본 제국의 육군과 해군에서 모두 욱일..
현충일이란?현충일은 6월 6일로 정해진 대한민국의 국가기념일입니다. 이 날은 조국을 위해 목숨을 바친 모든 순국선열들을 추모하고 기리는 날이다. 많은 사람들이 착각하는것이 이 날은 국가 추념일이지 국경일이 아니다. 국경일은 국가 입장에서 경사스럽고, 기쁘고, 즐겁고, 자랑스러운 날이여야 하는데 현충일은 애도의 날이기에 국가의 입장에서는 슬픈날에 가깝다. 배경1956년 4월 19일 대통령령 제1145호로 제정되었고, 1975년 1월 27일 대통령령으로 '관공서의 공휴일에 관한 규정'이 개정되어 공휴일로 공식 지정되었다. 이 날은 6·25전쟁에서 전사한 국군뿐만 아니라, 우리나라를 지키기 위하여 목숨을 바친 모든 선열의 넋을 기리는 날이다. 그리고 현충일은 매년 6월 6일로, 24절기 중 망종(芒種)에..
횡문근융해증이란?횡문근융해증은 질병이나 손상, 독성 물질에 의해 손상된 근섬유가 분해되어 혈류로 내용물을 방출할 때 발생하는 중증 질환이다. 이로 인해 근육통, 무기력, 갈색 소변 및 심각한 경우에는 신부전까지 발생할 수 있다. 원인횡문근융해증은 다양한 원인이 있지만 대체적으로 다음과 같은 원인이 주를 이룬다. - 지나친 체온 상승, 무리한 근력 운동, 외상, 음주, 뇌전증, 약물 오남용 등의 원인으로 근육이 손상되었을 때 - 압박 증후군, 학대받은 아동, 장시간 부동자세, 장기간 근육 압박을 받는 자세로 수술한 경우 - 훈련 받지 않은 사람이 격렬한 운동을 한 경우, 덥고 습한 환경에서 운동한 경우, 약 복용 등에 의해 땀을 흘리면서 열을 식히는 기전이 손상된 경우, 땀 흘림에 의해 저칼륨혈증이 ..
여유증이란?여유증은 남성의 가슴에 지방이나 유선 조직이 비정상적으로 발달하는 질환을 말한다. 여성의 유방과 유사하게 가슴이 붓고 팽창하는 것이 특징이 있으며 그래서 다른 말로 여성형 유방증이라고도 부른다. 그렇기에 여유증은 심리적, 사회적 스트레스를 유발할 수 있다. 원인개인마다 여유증의 원인은 다르기에 정확한 원인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진료가 동반되어야 한다. 대표적인 원인은 다음과 같다. ①호르몬 불균형 : 남성 호르몬 분비가 감소하거나 여성 호르몬 분비가 증가하는 경우 발생할 수 있다. ②유전적 요인 : 가족 중에 여유증이 있는 경우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③비만 : 체내 지방이 축적되어 발생할 수 있다. ④약물 부작용 : 일부 약물이 여유증을 유발할 수 있다. 이 외에도 갑상선 기능 저하증, ..
삐라 뜻삐라는 전단지를 가리키는 일본어 비라(ビラ)에서 유래된 말로, 일제강점기 이후로는 전단지라는 의미로 쓰였지만, 세월이 흐르며 남한에서는 대북 또는 대남 심리전 용도로 사용하는 전단지를 일컫는 용어가 되어버렸다. 주로 정치적 내용이나 자신의 주장을 알리기 위한 목적으로 만들어지며 광고지 혹은 리플릿(leaflet)이라고도 불린다. 역사삐라는 전쟁이나 분쟁 상황에서 상대방을 교란하거나 심리적으로 압박하기 위해 사용되는 선전물로, 역사적으로 다양한 사례가 있다. 6.25 전쟁 당시 남북한 양측은 서로 상대방을 향해 삐라를 살포하였다. 그리고 베트남 전쟁에서는 미군과 북베트남군 양측이 삐라를 살포하였다. 걸프 전 때는 미군이 이라크를 상대로 삐라를 살포하였고, 최근에는 북한이 대한민국을 향해 삐라..
국가유산청 소개국가유산청은 문화재청이라는 기관이 2024년 5월 17일, 국가유산청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이는 단순한 명칭 변경이 아닌, 우리 문화유산에 대한 인식과 가치관을 새롭게 정립하고, 보호 및 관리 체계를 강화하기 위한 중요한 변화라고 한다. 국가유산청은 국가유산에 관한 사무를 관장하는 대한민국의 중앙행정기관으로 문화체육관광부 산하에 있다. 배경1962년 문화재관리국으로 시작된 문화재청은 문화재의 보존·관리, 활용에 관한 사무를 관장하는 중앙행정기관으로, 문화체육관광부의 외청이었다. 국가유산청의 출범은 기존의 문화재 정책의 한계를 극복하고, 변화된 정책 환경과 유네스코 등 국제 기준과 연계하기 위해 ‘유산’(遺産, heritage) 개념을 도입한 것으로 볼 수 있겠다. 역할국가유산청..
미장센이란?미장센(Mise-en-scène)은 연극, 영화, 방송 등 무대 예술 작품에서 '관객들에게 넌지시 전달할 목적으로 무대에 놓이는 모든 것'을 의미하는 프랑스어 용어다. 배우, 배경, 소품, 의상, 조명, 음악, 무대 디자인 등 시각적 요소들을 총칭하며, 이 모든 요소들이 작품의 주제, 분위기, 감정을 표현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유래17세기 프랑스 극작가 몰리에르(Molière)의 작품에서 처음 등장했다. 당시에는 무대 장치와 소품을 의미하는 단어로 사용되었지만, 19세기 들어서서 감독들이 무대 전체를 구성하는 요소로 활용하기 시작했다. 특히, 조르주 아피스(Georges Appia)와 아돌프 아피아(Adolphe Appia) 등의 연출가들이 미장센 개념을 확립하고 발전시켰으며, 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