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스트암 : 위장관 벽의 근육층에 위치한 카알세포가 변이 하여 발생한 희귀 질환

기스트암

기스트암이란?

기스트암은 위장관기질종양(Gastrointestinal Stromal Tumor)의 약어로 식도, 위, 소장, 대장, 직장 등 위장관 벽의 근육층에 위치한 카알세포가 변이를 일으켜 발생하는 희귀 질환을 말한다. 10만 명 중에 1명꼴로 발생하고 있으며, 여성보다는 남성에게서 2배 더 많이 발생한다고 알려져 있다.

 

 

 

원인

기스트암의 원인은 아직 정확히 밝혀지지 않았지만, 유전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본다. 유전적 요인으로는 GIST1, NTRK1, KIT 등의 유전자 돌연변이가 관련되어 있는 것으로 보고 있으며, 환경적 요인으로는 방사선 노출, 염증성 장질환 등이 관련되어 있는 것으로 추측하고 있다.

 

이 중에서 KIT 단백질의 과한 발현과 돌연변이로 인해서 기스트암이 생겨난다는 쪽으로 많이 기울고 있다.

 

 

 

증상

종양의 위치와 크기에 따라 증상은 다르게 나타난다. 일반적인 징후로는 복통, 위장관 출혈, 메스꺼움, 만져지는 종괴 등이 있다. 그리고 나아가 심각해지면 심한 출혈과 더불어 장폐색, 장천공 등의 합병증까지 나타난다. 기스트암은 증상이 비특이적이거나 다른 소화 문제로 인해 발생하기 때문에 조기진단은 상당히 어려운 편이다.

 

진단

기스트암은 주로 조직검사를 통해서 진단을 내릴 수 있다. 그리고 나아가 내시경 검사, CT 검사, MRI 검사 등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내시경 검사를 통해 종양의 위치와 크기, 모양 등을 확인할 수 있으며, 보다 정확하게는 CT 검사나 MRI 검사를 통해 종양의 침범 범위를 확인할 수 있다.

 

기스트암은 초기에는 증상이 아예 없기 때문에 우연히 건강검진을 등을 통해 발견되는 경우가 제일 많다고 알려져 있다.

 

치료

기스트암은 종앙의 크기, 위치, 악성도에 따라서 치료방법을 결정한다.

 

①외과적 수술 : 기스트암의 기본적인 치료법은 수술이다. 종양의 크기가 작더라도 절제하여 진단 및 치료를 해야 한다.

 

②표적항암제 투여 : 수술이 불가능하거나 전이된 경우 사용한다.

 

③방사선 치료 : 종양의 크기를 줄이거나 전이를 막기 위해 사용한다.

 

예후

종양의 크기, 위치, 악성도 등에 따라 예후가 다른 편이다. 우선 위에서 발생한 기스트암은 소장이나 대장에서 발생한 것보다 훨씬 예후가 좋은 편이다. 그리고 작은 종양의 경우 완치율이 높지만, 큰 종양이나 악성도가 높은 종양의 경우 예후가 좋지 않다.

 

예방

기스트암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건강한 식습관과 규칙적인 생활습관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소화기 암의 발생 원인이 될 수 있는 맵고 짠 음식, 불에 태운 음식, 부패한 음식, 질산염이 많이 함유된 음식은 최대한 피하거나 덜 섭취해야 한다. 그리고 혹여나 가족 중에 관련 환자가 있는 경우에는 항상 정기적인 검진을 받도록 해야 한다.

 

영상

 

기스트암기스트암

마무리

기스트암이 희귀 암이며 재발률도 높고 고난도 치료가 필요한 암이기 때문에 워낙 까다롭기로 유명하다, 하지만 조기에 발견하여 적절한 치료를 받으면 완치율을 아주 높은 편이며, 특히나 표적 치료가 효과적일 때는 생존기간도 길어진다. 그렇기 때문에 위장관에 통증이나 불편함이 지속적으로 느껴진다면 꼭 병원에 가서 진료를 받아보길 바란다.

 

 

 

 

허혈성 대장염 : 장의 혈류장애로 인해 생기는 대장염

1. 허혈성 대장염 소개 허혈성 대장염은 대장의 혈류 감소로 인해 대장 조직의 염증과 괴사가 일어나면서 생기는 질환이다. 주로 고령층에서 자주 생기는 질환으로, 대부분 자연적으로 치유가

ordinarypersons.tistory.com

 

실리악병 : 글루텐 식품에 반응해 소장 내 융모 손상 및 염증이 생기는 병

1. 실리악병 소개 실리악병(Celiac Disease)은 글루텐에 대한 면역반응으로 소장의 점막에 염증이 발생하게 되는 만성적인 자가면역질환을 뜻한다. 현재 이 질환은 유전적인 요인과 환경적인 요인이

ordinarypersons.tistory.com